해방 직후의 민족 문학론과 근대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19:15
본문
Download : 해방 직후의 민족 문학론과 근대성.hwp
조선 문학 건설 본부와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 동맹의 논쟁에 대한 연구로는 다음과 같은 논문이 있다
이양숙, 「해방 직후 문학 이념과 문학 정책」, ꡔ한국학보ꡕ, 1989년 봄.
임규찬, 「8·15 직후 민족 문학론에 있어서 민중성과 당파성의 문제」, ꡔ실천문학ꡕ,
1988년 겨울.
임규찬, 「해방 직후 문학 운동의 조직 노선과 노동자 계급 헤게모니의 문제」, ꡔ노
동 해방 문학ꡕ, 1989. 6·7.
졸고, 「해방 공간의 민족 문학 논쟁과 카프의 문학 이념」, ꡔ한국 근대 리얼리즘 문
학 비판ꡕ, 태학사, 1995.
이 문건에 따르면, 조선 문학가 동맹이 설정한 해방 직후의 혁명 단계는 부르주아 민주주의 단계이다.
순서
인민의 문학으로서의 민족 문학 조선 문학가 동맹은 1946년 2월 8일과 9일에 걸쳐 개최된 전국 문학자 대회를 통해 조직을 정비하고 민... , 해방 직후의 민족 문학론과 근대성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해방 직후의 민족 문학론과 근대성.hwp( 95 )
조선 문학가 동맹은 1946년 2월 8일과 9일에 걸쳐 개최된 전국 문학자 대회를 통해 조직을 정비하고 민...






인민의 문학으로서의 민족 문학
해방 직후의 민족 문학론과 근대성
,인문사회,레포트
인민의 문학으로서의 민족 문학
조선 문학가 동맹은 1946년 2월 8일과 9일에 걸쳐 개최된 전국 문학자 대회를 통해 조직을 정비하고 민족 文化 건설의 노선을 확정하게 된다 그 노선은 공산당의 정세 인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것이었는데, 조선 공산당 중앙 위원회의 이름으로 발표된 「조선 민족 文化 건설의 노선(잠정안)」이 그 점을 여실히 증명한다. 그렇기 때문에 文化 운동의 기본 임무는 조선의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 수행을 위한 광범한 투쟁의 일익으로 인식되고 그 …(To be continued )
다. 이 문건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임화, 이원조, 김남천 등의 조선 문학 건설 본부와 대결 양상을 빚은 이기영, 한설야, 한효 중심의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 동맹측의 문학 노선이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즉,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확립을 내세운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 동맹의 주장 대신 ‘새로 건설될 文化가 인민에 기반를 두는 文化여야 한다’고 주장한 조선 문학 건설 본부의 민족 문학론이 공산당의 formula적인 승인을 받았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