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Internet)을 통한 국내 고문헌(古文獻)의 서비스 실태과 활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21:47
본문
Download : 인터.hwp
디지털도서관은 전문(全文)의 디지털정보와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서비스를 기본 정의(定義) 으로 하는 새로운 도서관서비스의 한 형태이며 누리망 을 통한 고문헌의 서비스도 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인터넷(Internet)을 통한 국내 고문헌(古文獻)의 서비스 실태과 활용
고문헌 디지털화 고서 데이터베이스 / ()
순서
설명
고문헌 디지털화 고서 데이터베이스
6. 기타
Ⅰ. 서언
2. 서울대학교 규장각
4. 文化(문화)재관리국
Ⅱ. 고문헌 디지털화의 必要性과 그 방법
다.





5. 국사편찬위원회
최근 고서(古書)와 고문서(古文書)를 포함하는 고문헌(古文獻) 등에 디지털(digital)기술을 적용하는 국내외 事例(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문(全文)정보를 서비스하는 디지털도서관의 목적과 부합하여 접근이 제한되었던 고문헌을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Ⅲ. 국내 고문헌의 서비스 현황
3.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
Download : 인터.hwp( 79 )
1. 국립중앙도서관
레포트 > 기타
고문헌 디지털화 고서 데이터베이스 / ()
Ⅳ. 결언
본고에서는 디지털화된 고문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야 할 必要性과 그 방법을 우선 살피고, 원문정보를 중심으로 고문헌의 디지털화를 구축하고 있는 국내 事例(사례)들을 통해 그 시스템들을 intro 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改善(개선) 되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