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상 비영리재단법인의 설립 전반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01:52
본문
Download : 민법상 비영리재단법인의 설립 전반에 대한 연구.hwp
사단법인에서와 마찬가지로 필요적 기재사항과 임의적 기재사항이 있다 필요적 기재사항은 목적, 명칭, 사무소의 소재지, 자산에 관한 규정, 이사의 임면에 관한 규정 등이다.



,기타,레포트
순서
1. 비영리재단법인의 성립요건
2. 재단법인 설립행위의 성질
1. 비영리재단법인의 성립요건
1) 목적의 비영리성
2) 설립행위
재단법인의 설립행위에는 정관의 작성과 재산의 출연이 있다
① 정관의 작성
⒜ 기재사항
제43조 [재단법인의 정관] 재단법인의 설립자는 일정한 재산을 출연하고 제40조 제1호 내지 제5호의 사항을 기재한 정관을 작성하여 기명날인하여야 한다. 단, 재단법인은 사원이 없으므로 「사원자격의 득실」에 관한 사항은 기재할 필요가 없고, 법인의 존립시기나 해산사유는 필요적 기재사항이 아닐것이다.
민법상 비영리재단법인의 설립 전반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민법상비영리재단법인의설립전반에대한연구 , 민법상 비영리재단법인의 설립 전반에 대한 연구기타레포트 ,
민법상 비영리재단법인의 설립 전반에 대한 연구
민법상비영리재단법인의설립전반에대한연구
레포트/기타
설명
다. .
⒝ 정관의 보충
제44조 [재단법인의 정관의 보충] 재단법인의 설립자가 그 명칭, 사무소소재지 또는 이사임면의 방법을 정하지 아니하고 사망한 때에는 이해관계인 또는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法院이 이를 정한다.
필요적 기재사항을 누락한 경우 정관의 효력이 생기지 않지만, 다만 설립자가 경미한 사항을 정하지 않고 사망한 경우에는 法院이 정관을 보…(省略)
Download : 민법상 비영리재단법인의 설립 전반에 대한 연구.hwp( 98 )
민법상 비영리재단법인의 설립 전반에 마주향하여 조사하였습니다.